삼천리 기밀실(三千里機密室)(The Korean Black Chamber)
사고(社告)
조선 민중의 지도자 총관(朝鮮 民衆의 指導者 總觀), 수십년래(數十年來) 반도강산(半島江山)에 금일(今日)가치 인재(人材) 모힌 적이 업다 _ 홍양명(洪陽明) 김경재(金璟載) 이종린(李鍾麟) 김창제(金昶濟) 김항규(金恒奎) 김병로(金炳魯) 주요한(朱耀翰) 홍증식(洪璔植) 이용설(李容卨) 서정희(徐廷禧) 김병선(金秉璿)
반도의 사상판검사진(半島의 思想判檢事陣), 고등(高等)·복심(覆審)·지방(地方)의 삼법원(三法院)을 통(通)하야 _ 김병로(金炳魯)
중화(中華) 사볫트수도(首都) 서금방기(瑞金放棄) 의의(意義), 전략적 전환(戰略的轉換)에 불과(不過) _ 창산학인(蒼山學人)
신설지국(新設支局)
21개조(個條)를 선언(宣言)한 「적극신앙단(積極信仰團)」
커가는 천도교구파 세력(天道敎舊派勢力), 오영창파(吳榮昌派)와 합동구체화 _ 북릉학인(北陵學人)
최근 인물동정(最近人物動靜), 지엑고스로부아기아 대통령(大統領) 마사릿구
서백리아(西伯利亞)와 이동휘(李東輝) _ 권동진(權東鎭) 원세훈(元世勳) 홍양명(洪陽明)
창천(蒼天)이여 애아(愛兒)를 돌려주소서 _ 이광수(李光洙)
다녀간 애아(愛兒)여 _ 허영숙
사고(謝告) _ 삼천리사
제왕일대기(帝王一代記), 인조대왕편(仁祖大王篇), 다간전패(多艱顚沛)의 어우기(御宇期)와 영명(英明)하신 종종(種種)의 성덕(聖德) _ 목춘학인(木春學人)
동지(同志) 생각 _ 정칠성(丁七星)
청춘(靑春)을 앗기는 가인애사(佳人哀詞)
영고탑(寧古塔)과 동경성(東京城), 소연(騷然)한 북만주행(北滿洲行) _ 원세훈(元世勳)
한양(漢陽)·서울·경성(京城), 20년간(年間)의 변천(變遷)을 돌아보며 _ 유광열(柳光烈)
전기소설(傳記小說), 재계(財界)의 괴걸(怪傑) 박흥식(朴興植) _ 사층루거사(四層樓居士)
신촌(新村)동산에 난연(爛然)하게 핀 대이화(大梨花)의 푸로폣사들, 이화여교수진(梨花女敎授陣) _ 김팔련(金八蓮)
웅변가(雄辯家)의 연설(演說) _ 주운성(朱雲成)
미인박명애사(美人薄命哀史), 조서(早逝)한 문단(文壇)의 명화(名花) 송계월양(宋桂月孃) _ 홍의동자(紅衣童子)
악단시감(樂壇時感) _ 구왕삼(具王三)
신사숙녀신분조사서(紳士淑女身分調査書)
문사(文士)들의 양복(洋服), 구두, 모자(帽子)
고인고담(古人古談), 신인신담(新人新談), 야행구십리(夜行九十里)하든 명동촌 시대(明東村 時代)의 이동휘(李東輝)
선구자(先驅者)를 우러러, 위대(偉大)한 사상(史上)의 큰 어룬들 _ 안재홍(安在鴻), 설태희(薛泰熙), 이돈화(李敦化), 김창제(金昶濟), 신흥우(申興雨), 허헌(許憲), 정인과(鄭仁果), 여운형(呂運亨), 방응모(方應謨), 송진우(宋鎭禹), 차상찬(車相瓚), 이광수(李光洙), 박창훈(朴昌薰)
화신대화후 부흥기(和信大火后 復興記) _ 악양루(岳陽樓)
신여성과 애정과 정조관(新女性과 愛情과 貞操觀) _ 최정희(崔貞熙)
춘원연구(春園硏究)(5) _ 김동인(金東仁)
톨스토이 고향방문기(故鄕訪問記) _ 막사과대학(莫斯科大學) 최학성(崔學星)
명작선집(名作選集)에 대(對)하야
명작시가집(2)(名作詩歌集)(二)
쥐이야기 _ 민촌 이기영(民村 李箕永)
대도전(大盜傳) _ 윤백남(尹白南)
승방비곡(僧房悲曲) _ 최상덕(崔象德)
김강사(金講師)와 T교수(敎授) _ 유진오(兪鎭午)
홍수전후(洪水前後) _ 박화성(朴花城)
새뜻 _ 장혁주(張赫宙)
나무는 심어 놓고 _ 상허 이태준(尙虛 李泰俊)
돈(豚) _ 이효석(李孝石)
어미와 딸 _ 장덕조(張德祚)
노(老)총각 _ 방인근(方仁根)
상흔(傷痕) _ 한인택(韓仁澤)
3월호(三月號)를 내면서
접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