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서

- 구분
- 고서 > 귀중본 > 보물
- 제목
-
- 한글불설대보부모은중경
- 한문佛說大報父母恩重經
- 저자
-
- 저자명구마라집 鳩摩羅什
- 저자참조사항구마라집 鳩摩羅什 요진 (姚秦) 역 譯
- 간사지
- 평양부 平壤府 광법사 廣法寺
- 간사년
- 1454
- 판
- 목판본
- 형태
-
- 가로905.7cm 세로23.8cm
- 장정권축장(卷軸裝)
- 권책수1권
- 행자수(반엽기준) 기타 매행 每行
- 주기
-
- 간사사항주기간기 刊記:경태 1년 갑술 (1454) 정월 일 평양부 대성산 광법사 개판 景泰五年甲戌 正月日 平壤府大成山廣法寺開板
- 형태사항주기권자본 卷子本
- 기타사항도 圖
- 발(跋)도 圖
해제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줄여서 ‘부모은중경’, ‘은중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모의 소중한 은혜에 대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얘기한 경전이다. 단종 2년(1454)에 평양 대성산 광법사에서 새긴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23.5㎝, 가로 901.3㎝이다. 처음에 종이를 이어붙여 두루마리 형식으로 만들었다가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바꿨다. 현재는 처음의 두루마리 형태으로 되어 있는데, 접혔던 부분은 마멸이 심하다. 본문에서는 부모의 10가지 소중한 은혜를 시처럼 엮어서 읊고, 그림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 8가지 부모 은혜의 소중함을 글과 그림으로 설명하고, 부모의 은혜를 갚는 경우와 갚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장면을 그림으로 묘사하고 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은중경 가운데 연대가 가장 빠른 것이며 판화가 고려본보다 더 정밀하게 묘사되었다.(출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tage/hub/HubAp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