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문예
제호(잡지명)
  • 한글백민 창간호
  • 한문白民 創刊號
  • 기타白民 十二月號
발행자
  • 편집 겸 발행인金玄松
출판사
白民文化社 백민문화사
발행지
서울市 樓上町 9番地
인쇄소
大東印刷所 대동인쇄소
창간일
1945년 12월 1일
간행일
1945년 12월 1일
인쇄일
1945년
통권
1호
간별
격월간
형태
  • 면수50page
가격
  • 정가3원

목차

표지(사진)(1)
명작시조선(2)
창간사, 목차(3)
세계에 聲明하는 삼천만의 總意-독립촉성중앙협의회에서(4-5)
李博士 起草 결의서 전문(5-7)
국민당의 정강(7)
大衆共生의 이념-안재홍씨의 신민주주의론(7-8)
조선공산당 격문(8-10)
박헌영(조선공산당대표): 민족통일정부를!(10-11)
신채호: 大단군왕검의 건국(12-15·11)
이승만: 전국민은 통일하자(16-17)
여운형: 조선인민공화국 발족(17-18)
윤승한[사화]예술가 솔거(19-25)
왕명[수필]신경 역두의 태극기(26-28)
임서하[수필]대합실의 主 예수(29)
한글기념일과 한글노래(30)
이극로(작사): 한글노래(30)
신정언[역사소설]을지문덕⓵(31-37)
김송[소설]만세(38-50)
최세조: 독자통신(뒤표지속)
국사연대표(뒤표지)

해제

1945년에, 김현송이 우리 민족의 자주적인 문화를 창조하기 위하여 창간한 잡지.
1945년 12월 작가 김현송(金玄松)에 의해 창간된 문예지로, 종합교양지의 성격도 갖추고 있었다. 판형은 A5판으로 처음에는 격월간으로 발행하다가 월간으로 바꾸어 발행했다. 소설가 김현송은 일제하에서 문화에 굶주렸던 국민에게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문화의 식탁 구실을 하고자 이 잡지를 발간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상동의 백민문화사(白民文化社)에서 고전·평론·수필·소설·교양 등의 읽을거리를 담은 순수문학과 민족문학적 입장을 견지했던 이 잡지는 1948년 1월호까지 통권 21호를 발간했으나 경영의 어려움으로 잠시 자취를 감추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6월에 세종로의 중앙문화협회(中央文化協會)가 제호를 『문학(文學)』으로 바꾸어 속간하게 되었다. 이때는 시인인 김광섭(金珖燮)이 발행인이 되어 편집, 발행했으나 제22호와 제23호의 두 호만이 나왔을 뿐 곧 사라지고 말았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