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여성
제호(잡지명)
  • 한글여성조선 27호
  • 한문女性朝鮮 27號
출판사
女性朝鮮社 여성조선사
발행지
京城 경성
간행일
1932년
인쇄일
1932년
통권
27호
간별
월간

표지화 (삽화,컷)

해제

기록에 의하면 『여성조선』은 1930년 8월 여성조선社에서 창간한 여성잡지이다. 편집겸발행인은 김희철(金熙哲)인데 1932년 11월에 나온 통권 27호의 「편집후기」에 의하면 『녀성휘보』를 『여성조선』으로 개제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 잡지를 찾을 수 없어 확인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여성조선』은 통권 27호와 28호(1933년 1월호) 두 책만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두 책만으로는 『여성조선』 전체의 성격을 파악할 수 없을 것이다.
위의 「편집후기」를 보면 1932년 중반 『여성조선』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언급하고 있는데, 27호와 28호의 사이에도 적지 않은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우선 가장 큰 차이는 잡지의 분량으로, 27호는 보다시피 총 38면에 불과한 데 반해 28호는 102쪽이나 된다. 신년호라는 타이틀만 붙었을 뿐인데 세 배 가까이 차이를 보이는 것부터 예사롭지 않다. 열 꼭지 정도밖에 실려 있지 않은 27호에서 장덕조, 함대훈, 김영랑 등을 제외하고는 필자명을 ‘豊秋’, ‘信愛’, ‘照鮮’, ‘金執行伊’ 등 아호로 밝혀 놓아 성격 파악에 어려움이 많다.
38면밖에 안 되는 27호에 비해 28호는 표지화(박상진 그림)부터 밝히기 시작해 여운형, 김경재, 원세훈, 허정숙, 김기림, 주요한, 김동환, 김조규, 민병휘, 서광제, 홍구, 이종명 등 시사부터 문예에 이르기까지 지명도의 차이가 약간 있겠지만 거의 모두 유명한 필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를 정리해서 말하면, 27호는 상대적으로 좀 더 무거운 주제를 갖고 쓴 글이 많은 데 비해 28호는 보다 친숙한 필자들에 의해 흥미로운 주제로 쓴 글들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해제: 오영식)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