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문예
제호(잡지명)
  • 한글신시단 1호
  • 한문新詩壇 1號
발행자
  • 인쇄인강주수
  • 인쇄인 주소진주 영정 351번지
  • 편집 겸 발행인신명균
  • 편집 겸 발행인 주소경성부 가회동 63번지
출판사
新詩壇社 신시단사
발행지
晉州 진주군 진주면 금정
인쇄소
진양당인쇄소
인쇄지
진주 영정 351번지
발매소
한성도서주식회사
발매지
경성부 견지동 22번지
창간일
1928년 8월 1일
간행일
1928년 8월 1일
인쇄일
1928년 7월 25일
통권
1호
형태
  • 면수48page
가격

표지화 (삽화,컷)

해제

『신시단』은 1928년 신시단사에서 신명균이 진주지방 시인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창간한 잡지, 시동인지. 국판 54쪽으로 지령(誌齡)은 창간호에 그쳤다. 편집 겸 발행인은 신명균(申明均)이고, 발행소는 진주(晋州)의 ‘신시단사’였다. 동인으로는 엄흥섭(嚴興燮)ㆍ김병호(金炳昊)ㆍ정창원(鄭昌元)ㆍ소용수(蘇瑢叟) 등이 있다.
『신시단』은 비록 창간호에 머물었지만, 월간 시지(詩誌)를 표방하고 필진이 전국에 미친 점, 시인 작품을 발굴하고자 했던 점, 문학의 해외교류를 표방한 점이 특징적이다. 문예지 가운데 처음으로 일제에 의해 창간호가 압수되었음은 물론 검열에 의해 전문이 삭제될 때는 제목과 필자를 밝히고 부분 삭제일 때는 남은 부분을 그대로 실음으로써 독자에게 검열의 형편을 알려 주어 저항감을 돋웠다. 실린 시의 내용은 대체로 1920년대 전반의 병적 감상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고 순수 서정과 시국에 대한 비애와 절망의 두 갈래로 나타났다.
『신시단』은 지방에서 창간된 시 전문 동인지로 1920년대 지방 문단의 현황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해외 문학을 소개한 전문 잡지라는 의의가 있다.(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