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 구분
- 잡지 > 아동/청소년
- 제호(잡지명)
-
- 한글신소년 11권 4호
- 한문新少年 11卷 4號
- 영문LA NOVA KNABO
- 발행자
-
- 인쇄인李炳華
- 인쇄인 주소京城府 水標町 42番地
- 편집 겸 발행인申明均
- 편집 겸 발행인 주소京城府 水標町 42番地
- 출판사
- 新少年社 신소년사
- 발행지
- 京城府 水標町 42番地
- 인쇄소
- 新少年社印刷部 신소년사인쇄부
- 인쇄지
- 京城府 水標町 42番地
- 발매소
- 中央印書館 중앙인서관
- 발매지
- 京城府 安國洞 153
- 창간일
- 1923년 10월 3일
- 간행일
- 1933년 4월 1일
- 인쇄일
- 1933년 3월 29일
- 권호
- 11권 4호
- 간별
- 월간
- 형태
-
- 면수60page
- 가격
-
해제
1923년 10월부터 1934년 5월까지 발행되었다. 판형은 대체로 A5판이었으나 중기에는 한동안 B5판으로 제작되기도 했다.
방정환(方定煥)이 색동회를 조직해 아동문화운동을 전개한 데 자극을 받아 나오게 되었다. 신명균(申明均)·김갑제(金甲濟)·이주홍(李周洪)이 주로 편집을 맡았는데, 편집체재는 얼핏 보기에 당시 일본의 소년지인 『소년구락부(少年俱樂部)』나 『일본소년(日本少年)』과 비슷했다.
초기에는 한자의 노출이 많은 것으로 보아 『어린이』지보다 정도를 좀 높인 듯했으나 1926년부터는 한자의 괄호 처리가 늘어났다.
뚜렷한 창간취지나 지향점을 내세우지는 않았으나, 초기에는 일본의 문학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았고, 중기에는 소극적인 민족주의에 계급의식이 가미된 중간적 경향을 띠었으나 말기에 이르면서 『별나라』와 더불어 적극적인 계급주의 경향으로 기울었다.
주로 이 잡지를 통해서 활동한 문인들로는 이호성(李浩盛)·신명균·맹주천(孟柱天)·김석진(金錫振)·마해송(馬海松)·연성흠(延星欽)·고장환(高長煥)·정열모(鄭烈模)·권환(權煥)·정지용(鄭芝鎔)·이주홍 등이 있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3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