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대중
제호(잡지명)
  • 한글서울 5호 _서울사
  • 기타서울 特別附錄孫秉熙外四十八人의 略歷
발행자
  • 인쇄인최성우
  • 인쇄인 주소경성부 황금정 2정목 21번지
  • 편집 겸 발행인장도빈
  • 편집 겸 발행인 주소경성부 광화문통 132번지
출판사
漢城圖書株式會社出版部 한성도서주식회사 출판부
발행지
京城 경성 광화문통 132번지
인쇄소
新文館 신문관
인쇄지
경성부 황금정 2정목 21번지
창간일
1919년 12월 15일
간행일
1920년 8월 15일
인쇄일
1920년 8월 13일
통권
5호
간별
격월간
형태
  • 가로15cm
  • 세로22cm
  • 면수147+28page
가격
  • 광고료특등 1頁 25원, 1등 1頁 16원, 2등 半頁 7원, 4半頁 4원, 1頁 13원, 3등 半頁 6원, 4半頁 3원 50전, 1頁 10원원
  • 기타郵稅 2錢

표지화 (삽화,컷)

해제

1919년에 창간된 월간 종합잡지로, 발행인 겸 편집인은 장도빈(張道斌)이었다. 제2호는 1920년 2월에, 제3호는 같은 해 4월에 발행되었는데, 격월간으로 나온 것은 초창기에 어려움이 많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제4호부터는 이봉하(李鳳夏) 등이 설립한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 출판부에서 인수해 발행했다. 이 잡지는 3·1운동 후 처음으로 발행된 잡지라는 점에서 큰 뜻을 찾을 수 있다.
민족출판사업의 깃발을 들고 나온 한성도서주식회사의 첫 출판이 『서울』이었다는 점도 명기될 만한 일이다. 이 잡지는 발행허가를 받았으나 정치·시사 문제를 마음대로 다룰 수 없었던 당시의 사정으로 그 논조는 미온적이었고, 논문의 질도 높은 편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해 9월 발행의 제6호에서 「조선독립운동사건의 전말」·「세계에 대한 조선인의 요구」 등 5편이 사전검열에서 전부 삭제되었고, 12월에 발행된 제8호에서도 많은 기사가 삭제되는 수난을 겪고 폐간되었다.
비록 허약하기는 하였으나 스스로를 ‘언론잡지’로 자처한 흔적은 찾을 수 있다. 주간인 장도빈을 비롯한 편집기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편집기획의 산만성과 집필진의 빈약, 독자층의 영세 등으로 신장되지 못했다.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