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담문고

메뉴보기

잡지

구분
잡지 > 대중
제호(잡지명)
  • 한글삼천리 제3호
  • 한문三千里 第3號
  • 기타三千里 十二月號
발행자
  • 인쇄인沈禹澤
  • 인쇄인 주소京城 公平洞 55番地
  • 편집 겸 발행인金東煥
  • 편집 겸 발행인 주소京城 敦義洞 74番地
출판사
三千里社 삼천리사
발행지
京城府 敦義洞 74番地
인쇄소
大同印刷株式會社 대동인쇄주식회사
인쇄지
京城 公平洞 55番地
발매소
永昌書舘 영창서관
발매지
京城 鍾路 2의 84
창간일
1929년 6월 12일
간행일
1929년 11월 13일
인쇄일
1929년 11월 9일
통권
3호
간별
월간
형태
  • 면수40page
가격

목차

태평양회의(太平洋會議)에 갓다가, 미령 포와(美領布哇)에서 개최 _ 연희전문학교교수(延禧專門學校敎授) 유억겸(兪億兼)
국제변호사대회(國際辯護士大會)에 갓다가, 중국 북평(中國北平)에서 개최(開催) _ 보성전문학교장(普成專門學校長) 박승빈(朴勝彬)
만국종교대회(萬國宗敎大會)에 갓다가, 유태(猶太) 「예루살넴」에서 개최(開催) _ 조선주일학교 총무(朝鮮主日學校 總務) 정인과(鄭仁果)
세계적(世界的)으로 활약(活躍)하는 이들
명인렬전(1)(名人列傳)(其一), 국창(國唱) 이동백옹(李東伯翁) ,
삽화(揷話)
최근(最近) 미국 신여성(美國新女性) _ 이화전문학교교수(梨花專門學校敎授) 윤성덕 양(尹聖德 孃)
소화(笑話)
세계일주기행(제3신)(世界一週紀行)(第三信), 부활(復活)하는 애란(愛蘭)과 영길리(英吉利)의 자태(姿態) _ 허헌(許憲)
명사(名士)의 멘탈테스트(4) _ 신간회 중앙위원장(新幹會 中央委員長) 허헌씨(許憲氏)
잡담실(雜談室)
명사(名士)의 멘탈테스트(4) _ 조선교육협회 이사장(朝鮮敎育協會 理事長) 유진태씨(兪鎭泰氏)
과도기여성(過渡期女性)의 건설적 기풍(建設的氣風) _ 배성룡(裵成龍)
「계모(繼母)의 비극(悲劇)」 비판(批判)
반도팔경(半島八景) _ 김동인(金東仁)
집필난(執筆難)
잡담실(속)(雜談室)(續)
애인(愛人)과 안해
재산(財産)과 연령(年齡)
애인(愛人)과 남편(男便)
응구첩대(應口輒對)
안해를 직업부인으로 내보낸 남편의 소감
나즌 책(冊)
연애(戀愛)와 결혼(結婚)의 측면관(側面觀) _ 심훈(沈熏)
사고(社告)
시가(詩歌) _ 요한
북국점경(北國點景) _ 이효석(李孝石)
생(生)의 무한력(無限力) _ 양백화(梁白華)
편집후기(編輯後記)

해제

1929년에 취미와 시사 중심의 대중지 성격으로 발행한 교양 잡지. 편집인 겸 발행인은 김동환(金東煥)이며, 삼천리사(三千里社)에서 발행했다.
1929년 6월 창간되어 월간·격주간 등으로 B5판, B4판 또는 A5판으로 간행되다가, 『대동아(大東亞)』로 제명을 고쳐 1942년 3월과 7월 두 호를 더 내고는 자취를 감추었다.
취미 중심의 잡지였으나 저급한 취미로 타락하지는 않았으며, 주로 ‘고십난’에 치중해 호기심을 끌 만한 특종(特種)을 잘 포착해 지상(誌上)에 곧 반영시켰다.
우리 문학에 끼친 공로도 적지 않아서 문단의 중견작가 여럿이 집필한 「문예강좌」와 김동인(金東仁)의 「춘원연구(春園硏究)」, 여러 중견작가의 작품연대표 등은 특기할 만한 내용들이다.
그러나 과장과 공상이 지나치고 제목에 비해 내용이 빈약한 것이 커다란 흠이며, 무엇보다도 그 친일적인 성격 때문에 비난을 면하기 힘들다.
초기는 민족적 입장에 섰으나 1937년 이후부터 점차 친일적인 경향으로 바뀌기 시작해, 마침내는 친일파 · 민족반역자를 등장시켜서 반민족적 잡지로 전락했고, 끝내는 친일 잡지 『대동아』로 개명까지 했다.(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원본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
preview